영주산업 공식 블로그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의 설계 원칙 완전 정복! 본문

PCB 기초 지식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의 설계 원칙 완전 정복!

yjpcb 2025. 5. 13. 09:39
반응형

🔌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의 설계 원칙 완전 정복!

안녕하세요! 오늘은 PCB 설계에서 빠질 수 없는 고속 신호 기술, 바로 차동 신호에 대해 알아볼게요. USB, HDMI, PCIe처럼 빠른 데이터를 정확하게 주고받기 위해 꼭 필요한 개념인데요, “왜 신호를 두 개씩 쓰지?” “차동쌍 간격은 왜 중요하지?” 같은 궁금증, 오늘 싹 풀어드릴게요! 😊 설계할 땐 너무 자주 쓰지만, 의외로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라 초보자부터 실무자까지 모두에게 유익할 거예요!

📘 목차

1. 차동 신호란 무엇인가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는 두 개의 반대 극성 신호를 동시에 보내는 방식이에요. 하나는 원래 신호, 하나는 반전 신호인데요, 두 개의 선이 같은 환경에서 동시에 신호를 보내고, 수신단에서는 이 두 신호의 차이를 계산해 원래 정보를 복원합니다. 예를 들어 A선이 1V, B선이 0V면 수신단은 1V - 0V = 1V로 판단하는 거죠! 😮 이렇게 하면 외부 노이즈에 훨씬 강해지고, 빠르고 정확한 전송이 가능해요.

2. 왜 차동 신호를 사용하는가?

요즘 고속 통신 회로에서는 차동 신호가 기본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강력한 노이즈 억제와 높은 전송 안정성 때문이죠. 아래 표를 보면 싱글엔드와 차동 신호의 특징을 비교해볼 수 있어요:

항목 싱글엔드 차동 신호
노이즈 영향 영향 받기 쉬움 노이즈에 강함
배선 수 1개 2개(쌍)
속도 안정성 불안정할 수 있음 고속 안정적

3. 차동쌍 설계 시 꼭 지켜야 할 요소

차동 신호는 구조적으로 민감한 방식이기 때문에, 설계할 때 아래 요소들을 반드시 체크해야 해요! 마치 양팔 저울처럼 두 선이 완전히 대칭이어야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

  • 길이 매칭: 두 신호선 길이 차이 최소화 (일반적으로 0.2mm 이내)
  • 간격 일정 유지: 선 간 거리 일정 유지로 임피던스 정합 유지
  • 같은 레이어 배치: 신호 특성 유지 위해 동일 레이어에서 배선
  • 비틀림 방지: 크로스오버 피하고 병렬 이동 권장
  • GND 근접: 차폐 및 리턴패스 확보를 위해 그라운드와 함께 배치

4. 차동 임피던스란? 계산 방법은?

차동 신호도 결국 신호이니, 임피던스 정합이 중요하겠죠? 두 선을 하나의 쌍으로 계산하는 개념, 바로 차동 임피던스(Differential Impedance)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계산식이에요:

계산 대상 계산식 예시
차동 임피던스 (Zdiff) Zdiff ≈ 2 × Zodd × (1 - 0.48e-0.96S/H)
Zodd (한 선 기준 임피던스) PCB 구조, 선폭(W), 절연체 두께(H), 간격(S) 등으로 결정

※ 실제로는 EDA 툴이나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5. 레이아웃 실전 팁 (길이 매칭, 간격 유지)

이론은 알겠는데, 실전에서는 어떻게 배선하냐고요? 실무자들이 직접 사용하는 꿀팁을 알려드릴게요! 🧠

  • 두 선은 항상 나란히: 중간에 꺾이거나 거리 바뀌면 안 돼요
  • 길이 맞추기: 뱀처럼 꺾어 길이를 맞추는 “미끄럼배선” 활용
  • GND와 가까이 배치: 리턴 경로 확보로 EMI 억제
  • Via 최소화: 층간 이동은 임피던스 변화 유발
  • 90도 꺾임 금지: 반사 발생 위험, 항상 45도 또는 곡선 처리

6. 차동 신호 설계 실수와 해결책

아무리 잘 알고 있어도 실수는 생기기 마련이죠 😅 아래는 자주 발생하는 실수와 해결 방법이에요:

  • 길이 차이 과다: 길이 오차가 클 경우 데이터 지연 → 미끄럼배선으로 보정
  • 간격 불일정: 평행 유지 실패 시 임피던스 변화 → 간격 유지 패턴 필수
  • Via 남용: 과도한 층간 전환 → 한 쌍은 동일하게 Via 사용
  • 레이어 분리: 한 선만 다른 레이어로 배치 → 반드시 같은 레이어 유지
  • 언더필 없는 커넥터: 접속부 EMI 발생 → 차폐 커넥터 사용 권장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왜 차동 신호는 두 선이 꼭 나란히 가야 하나요?

두 선이 같은 전자기 환경을 공유해야만 외부 노이즈를 동일하게 받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노이즈 제거의 핵심이에요.

Q2. USB도 차동 신호인가요?

네! USB D+ / D- 라인이 대표적인 차동 신호입니다. HDMI, LVDS, PCIe도 모두 차동 구조예요.

Q3. Via를 꼭 같은 개수로 써야 하나요?

가능하면 같은 위치, 같은 개수로 사용해야 길이, 임피던스 오차가 최소화됩니다.

Q4. 차동쌍 길이는 얼마나 차이 나도 되나요?

일반적으로 0.1~0.2mm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며, 고속 설계에서는 더 정밀하게 맞춰야 합니다.

Q5. 반드시 임피던스를 계산해야 하나요?

고속 통신에서는 필수입니다. 임피던스가 맞지 않으면 신호 반사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Q6. 레이어가 바뀌면 차동쌍 유지 못 하나요?

바꿀 수는 있지만, 두 선이 함께 같은 위치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Via 처리되어야만 합니다.

오늘은 고속 설계의 핵심, 차동 신호의 개념과 설계 원칙에 대해 정리해봤어요. "왜 두 선이 같이 가야 하지?" 하는 궁금증부터, 실제 설계 팁까지 다뤄보니 어떠셨나요? 저도 처음엔 이게 왜 중요한지 몰라 실수를 많이 했던 기억이 있어요 😅 하지만 이 내용을 숙지하고 나면, 데이터 신뢰성과 전송 품질이 훨씬 안정적으로 확보됩니다! 여러분도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오늘 내용 꼭 저장해두세요!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댓글로 응원해주세요!

📝 다음 포스팅 예고

다음 시간에는 “GND 설계, 이렇게 하면 노이즈 잡힌다!” 편으로 돌아올게요. PCB에서 흔히 간과되는 그라운드 설계,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나요? 기대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