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산업 공식 블로그

고속 신호를 위한 임피던스 계산 방법, 복잡하지 않아요! 본문

PCB 기초 지식

고속 신호를 위한 임피던스 계산 방법, 복잡하지 않아요!

yjpcb 2025. 5. 8. 09:00
반응형

📐 고속 신호를 위한 임피던스 계산 방법, 복잡하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 전자공학을 공부하거나 PCB 설계에 발을 들이신 분들께 딱 맞는 주제를 들고 왔어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막막해하시는 “임피던스 계산”에 대해 다뤄볼게요. 특히 고속 신호에서는 임피던스가 맞지 않으면 반사, 왜곡 등으로 골머리를 앓게 되죠. 혹시 이런 생각 해보셨나요? “임피던스를 꼭 계산해야 하나?”, “공식이 너무 복잡해요...” 걱정 마세요! 실무자도 자주 쓰는 간단한 방법부터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 목차

1. 임피던스란 무엇인가요?

임피던스(Impedance)는 교류 회로에서의 저항 개념이에요. 단순히 전류의 흐름을 막는 ‘저항’이 아니라,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복합 저항을 의미하죠. PCB에서는 배선이 일종의 전송선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신호가 지나갈 때의 임피던스를 맞춰줘야 반사가 줄어듭니다. 마치 고속도로에서 차량 속도에 맞는 곡선 설계처럼, 신호도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통로를 맞춰줘야 해요 🛣️

2. 왜 고속 신호에서 중요한가요?

저속 신호에서는 배선의 특성이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고속 신호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 신호가 전송선처럼 행동하면서 라인의 임피던스와 부하의 임피던스가 다르면, 신호 반사 및 왜곡이 발생하죠. 아래 표를 통해 임피던스 불일치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지 알아볼까요?

상태 발생 문제
임피던스 정합 신호 반사 최소화,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임피던스 불일치 신호 반사, Overshoot, Undershoot, 데이터 오류

3. 임피던스 계산에 필요한 주요 요소

임피던스를 계산하려면 몇 가지 물리적/전기적 요소를 알아야 해요. 아래 리스트는 마이크로스트립(표면 배선) 기준으로 중요한 요소들이에요:

  • 배선 폭 (Width, W)
  • 절연체 두께 (Height, H)
  • 배선 두께 (Thickness, T)
  • 기판 유전율 (Dielectric constant, εr)
  • 그라운드 평면 존재 여부

4. 마이크로스트립 & 스트립라인 공식 정리

고속 신호 회로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배선 구조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스트립라인(Stripline)이에요. 각각에 맞는 임피던스 계산 공식이 있으니, 기초만이라도 알아두면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 아래 표에 간단히 정리해봤어요!

구조 임피던스 계산식
Microstrip Z₀ ≈ 87 / √εr × log(5.98H / (0.8W + T))
Stripline Z₀ ≈ 60 / √εr × ln(4H / (0.67π(W + T)))

5. 온라인 툴과 계산기 추천

“공식 너무 복잡한데요… 계산기 없나요?” 네, 대부분의 설계자들도 직접 계산하기보다 신뢰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해요. 특히 Altium에서 제공하는 차동 마이크로스트립 임피던스 계산기는 정확도도 높고 사용자 친화적이에요.

※ 그 외 많은 계산기가 존재하지만, 현재 접근이 어렵거나 신뢰성에 한계가 있습니다. 공식 출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해요!

6. 자주 하는 실수와 체크포인트

임피던스를 계산했다 하더라도, 아래와 같은 실수로 효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있어요. 꼭 체크해야 할 항목을 리스트로 정리해볼게요! ✔️

  • W, H 단위 혼동: mm와 mil 단위를 혼용하면 오차 발생
  • 절연체 유전율 값 입력 오류: 보통 4.4~4.8 (FR-4 기준)
  • 배선 폭만 조절하고 두께(T)를 무시: 두께도 임피던스에 영향
  • 레이아웃과 시뮬레이션 값 불일치: 계산 후 실제 PCB 구조와 비교 필수
  • GND 평면 미확보: 스트립라인/마이크로스트립 모두 GND 필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임피던스는 왜 50Ω으로 맞추나요?

50Ω은 일반적인 고속 회로에서 반사 최소화를 위한 표준값이며, 대부분의 장비 및 커넥터와 호환됩니다.

Q2. 마이크로스트립과 스트립라인 중 어느 쪽이 더 좋나요?

신호 노이즈나 방사 문제가 민감할 경우 스트립라인이 더 안정적입니다. 단, 제작 비용이 더 높아요.

Q3. 계산 결과가 50Ω이 안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배선 폭, 절연체 두께, 유전율 등을 조정해 재계산하세요. PCB 스택업을 처음부터 설계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Q4. 실제 PCB 제작 전에 임피던스 시뮬레이션이 필요한가요?

고속 설계에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사나 정합 문제를 사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EDA 툴 없이 계산만으로도 설계가 가능한가요?

기본적인 계산은 가능하지만, 실제 레이아웃 시 오차가 있으므로 툴 연동이 가장 안전합니다.

Q6. 고속이 아니라면 임피던스는 신경 안 써도 되나요?

10MHz 이하의 저속 신호라면 큰 문제가 없지만, 그 이상이라면 신호 정합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고속 회로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임피던스 계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론은 복잡할 수 있지만, 실전에서는 공식보다 올바른 접근과 개념 이해가 더 중요하다는 점! 저도 초보 시절에는 W, H, εr이 뭔지도 헷갈렸지만, 지금은 임피던스만 봐도 "아~" 하고 감이 오거든요 😊 여러분도 오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감 있게 고속 회로를 설계해보세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댓글로 힘을 주세요!

📝 다음 포스팅 예고

다음 시간에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의 설계 원칙”을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실전 설계 팁과 오류 방지 노하우까지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